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백정탈의 개발 블로그

Spring-DI 본문

스프링

Spring-DI

백정탈 2023. 2. 22. 23:19

loC(제어의 역전)컨테이너, DI컨테이너(의존 관계 주입)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런타임)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 되는 것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유연성을 확보하고 결합도를 낮출 수 있게 해준다.

의존성 주입은 말 그대로 의존적인 객체를 직접 생성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객체에 필요한 객체를 외부에서 결정해서 연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우리는 클래스의 기능을 추상적으로 묶어둔 인터페이스를 갖다 쓰면 되는 것이다.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가 내가 작성한 코드를 제어하고, 대신 실행하면 그것은 프레임워크가 맞다. (JUnit)

반면에 내가 작성한 코드가 직접 제어의 흐름을 담당한다면 그것은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라이브러리다.

 

 

@Override

자식 클래스가 부모 인터페이스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하게 해주는 애노테이션이다.

 

@BeforeEach

테스트코드가 실행 되기 전에 메서드를 실행 시키는 애노테이션이다.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빈 생명주기 콜백  (0) 2023.03.08
Springs-의존관계 주입과 옵션처리  (0) 2023.03.03
Spring-컴포넌트 스캔  (0) 2023.03.01
Spring-싱글톤 컨테이너  (0) 2023.02.27
spring-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0) 2023.02.27